<> 윈도우 서버 2019 파일 서버 설치 및 네트워크 공유 완벽 가이드
본문 바로가기
IT 관련

윈도우 서버 2019 파일 서버 설치 및 네트워크 공유 완벽 가이드

by 치킨이좋아 2025. 6. 7.
반응형

클라이언트 접속부터 고급 설정, SMB 프로토콜까지 총정리!

✅ Windows Server 2019 - 파일 서버 설치 및 운영 가이드

Windows Server 2019를 활용하면 네트워크 상에서 파일을 공유할 수 있는 파일 서버(File Server)를 손쉽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단계별 설치 및 설정 방법을 정리하여 안내드립니다.


📌 목차

  1. 역할 및 기능 추가
  2. 기본 파일 공유 설정
  3. 클라이언트 PC에서 기본 공유 폴더 접속
  4. 고급 공유 설정
  5. 클라이언트 PC에서 고급 공유 폴더 접속
  6. SMB 프로토콜과 보안 설정

🔧 STEP 01: 역할 및 기능 추가

서버 관리자에서 "역할 및 기능 추가"를 선택한 뒤, File and Storage Services → File and iSCSI Services → File Server를 체크하여 파일 서버 역할을 설치합니다.


📂 STEP 02: 기본 파일 공유 설정

  • 새 폴더(예: ShareALL)를 생성하고 속성 → "공유" 탭 클릭
  • Everyone 그룹을 추가하여 읽기/쓰기 권한 부여
  • "공유" 버튼 클릭 후 완료
  • 보안 탭에서도 Everyone에 필요한 권한이 부여되어 있는지 확인

💻 STEP 03: 클라이언트 PC에서 기본 공유 폴더 접속

  1. Windows 10에서 "내 PC" →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선택
  2. 폴더 경로 입력: \\서버IP\ShareALL
  3. 서버 사용자 계정(예: administrator)으로 로그인
  4. 접속 및 읽기/쓰기 권한 정상 작동 여부 확인

🔐 STEP 04: 고급 공유 설정

  • 폴더(예: ShareEZ) 생성 후, "속성 → 고급 공유" 클릭
  • 공유 활성화 후 "권한" 클릭 → 특정 사용자(예: eztest01) 추가
  • 원하는 권한(읽기/쓰기 등) 부여
  • 보안 탭에서도 동일하게 해당 사용자 권한 추가

🖥️ STEP 05: 클라이언트 PC에서 고급 공유 폴더 접속

  • 기본 공유와 동일한 방식으로 접속
  • \\서버IP\ShareEZ 입력 후 eztest01 계정으로 로그인
  • 접속 성공 여부 및 권한 작동 확인

🌐 추가 설명: SMB란?

SMB(Server Message Block)는 Windows 환경에서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입니다. CIFS(Common Internet File System)도 SMB의 일종입니다.

다양한 시스템 간의 파일 공유 시 사용되며, 기본적으로 TCP 포트 445를 사용합니다. 구형 환경에서는 NetBIOS 기반 포트(137, 138, 139)도 함께 활용됩니다.

⚠️ 보안 주의사항

  • SMB는 보안 취약점으로 공격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, 사내망에서만 사용을 권장합니다.
  • 사용하지 않는 경우, 고급 방화벽에서 해당 기능을 차단하는 것이 좋습니다.

📌 추천 글


🏷️ 관련 태그

#WindowsServer2019 #파일서버 #SMB공유 #윈도우파일공유 #네트워크공유 #WindowsFileServer #서버공유설정

반응형

댓글


TOP

TEL. 02.1234.5678 /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